경제, 금융, 공학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최우수 수료,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해킹방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 2022 교육부 장학생.

Study Steady

분류 전체보기 118

버블은 왜 발생하는가?

아래 슬라이드를 통해 본 내용을 가독성 좋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버블은 왜 발생하는가? -버블의 주요한 원인은 '인간’이다. +인간의 심리가 시장에 전염되는 과정 버블 bubble 내재가치에 비해 시장가격이 과대평가된 현상. ‘과열’이라는 용어로 사용되기도 한다. 내재가치는 자산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미래의 기대수익을 현재가치로 평가한 것을 말하는데 시장가격이 이 내재가치를 지나치게 넘어섰을 때 거품이 생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거품은 자산의 내재가치가 변하지 않았는데도 자산의 시장가격이 급격하게 상승할 것이란 기대로 인해서 투기를 조장해 만들어지는 게 일반적이다. 거품보다 약한 가격상승 현상은 흔히 '붐(boom)'이라고 한다. 버블은 일반적으로 '비이성적인 투기행위'로 이해되고 있다. 버블이 발..

가교은행, 가동률, 가변예치의무제도

아래 슬라이드를 통해 본 내용을 가독성 좋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교은행 (Bridge Bank) 架橋銀行 청산 대상 금융기관의 자산, 부채를 임시로 넘겨받아 예출금 업무 대행, 합병, 채권채무관계 조정과 같은 후속조치를 수행하는 은행. 금융기관 파산을 대비한 예금보험제도는 청산, 매각, 자산부채승계,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 등을 통해 부실금융기관 처리 가교은행을 통한 인수방식은 파산은행 처리에 상당한 시간이 예상될 경우 사용. (새로운 은행 설립 -> 자산, 부채 포괄승계 시켜 인수 희망자 물색) 장점 : 금융기관 파산의 충격 완화, 시간적 여유 확보 임무를 마치면 없어지는 한시적 기관 가동률 (Operating ratio) 생산능력 대비 생산 실적의 백분율을 의미, 생산설비가 어느 정도 이용되는지를..

경제/경제용어 2023.02.22

가계부실위험지수, 가계신용통계, 가계처분가능소득

아래 슬라이드를 통해 본 내용을 가독성 좋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가계부실위험지수(HDRI) (가구의 소득 흐름 + 금융 및 실물 자산)을 고려하여 가계부채의 부실위험을 평가하는 지표 DSR과 DTA를 결합하여 산출한 지수. *DSR : 가계 채무상환능력을 소득 측면에서 평가 [원리금상환비율] *DTA : 가계 채무상환능력을 자산 측면에서 평가 [부채/자산비율] 위험 및 고위험 가구는 가구의 채무상환능력 취약성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것일뿐. 이 가구들이 당장 채무상환 불이행(=임계상황)에 직면한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가계신용통계 가계부문에 대한 신용공급 규모를 나타내는 통계 금융기관과 기타기관(정부, 판매회사)이 가계에 제공한 대출과 외상구매 관련 신용을 모두 포괄. 우리나라 가계부문의 부채 규모..

경제/경제용어 2023.02.22

달러 이전의 통화 역사.

아래 슬라이드를 통해 본 내용을 가독성 좋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돈의 가치 하락 -> 물가 상승 미국은 코로나 19발 경제 위기를 달러를 푸는 것으로 해결하려 했다. 돈을 풀어 국채와 주택저당 증권을 사들였다. (달러가 기축통화기 때문에 가능한 일) 돈이 많이 풀리자 투자자들은 불안에 떨었다. 달러가 많이 풀리면(약달러, 달러 가치 하락) 금이나 비트코인 같은 대체자산이 강세를 보이게 된다. 어느 순간 금과 비트코인 가격이 디커플링 되었다. (2020년 8월부터.) 미국 정부가 금값을 대대적으로 규제했기 때문이다.. 미국이 금값을 떨어뜨린 이유는 달러에 대한 불신을 사전에 제압하기 위해서이다. 금값이 오른다 = 달러에 대한 불신 금융경제의 중심인 달러, 어쩌다가 기축통화가 되었을까? 지난 50년간, ..

달러는 어떻게 기축통화가 되었을까?

아래 슬라이드를 통해 본 내용을 가독성 좋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달러는 사실 그냥 종이쪼가리다. 미국정부에서 이게 돈이라고 정했으니 돈으로 쓰고 있을 뿐이다. 하지만 이 돈의 가치를 어떻게 보장할 것인가? 미국이 갑자기 없어진다거나, 초인플레이션이 일어난다거나 갑자기 화폐개혁이 일어난다면? 그럼 정말 이 돈은 휴지가 되어 버린다. 그럼에도 달러는 전세계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그것은 달러가 기축통화(key current)이기 때문이다. 미국이 없어지지도, 인플레이션이 일어나지도, 화폐개혁도 하지 않을 것이란 "믿음"이 있기 때문이다. 200년 전만해도 국가 간 거래에는 '금화'를 사용했다. 믿을 게 금 뿐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금화는 너무 무거웠다. 이 무거운 금을 들고 교역을 하기에 제한적이..

거시경제 : 국제수지와 환율

국제수지란 무엇이며 어떻게 파악되나? 국가간 통화의 교환비율인 환율은 어떻게 결정되며 수출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경상수지 흑자,적자와 국민 경제와의 관계는 어떠한가? ​ 폐쇄경제, 개방경제 ​ 수출 X : 국내에서 생산되어 외국에서 판매되는 재화와 서비스 수입 M : 외국에서 생산되어 국내에서 판매되는 재화와 서비스 ​ 무역수지 흑자 = X > M 무역수지 적자 = X 자국 화폐가치 = 수입이 줄고 수출이 늘어남 = 경상수지 흑자 = X-M > 0 ​ 국제 수지 : 한 국가가 일정기간 동안 수행한 해외부문과의 경제적 거래를 화폐단위로 표시 경상수지 (실물측면) 금융계정 (자본측면) ​ 우리나라의 경상수지 추이는 IMF위기 이후 흑자로 전환되었음. ​ 환율..

거시경제 : 글로벌 금융위기 , 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화(Subprime mortgage loan)

2008년 미국의 비우량(신용도가 낮은 사람 대상) 주택담보대출의 부실화로서 비롯되어 전 세계로 파급된 대규모의 금융위기 ​ ​ 1990년대 이후 저물가 속에 고성장을 지속하던 미국 경제의 자산 버블이 2006년부터 주택시장 침체와 함께 꺼지면서 금융자산의 부실이 급속히 증가하며 전세계적으로 금융시장 폭락, 신용겅색, 경기침체를 유발 ​ ​ 1929년의 경제대공황에 버금가는 세계적 수준의 경제적 혼란과 위축을 초래 ​ * 주택담보대출이란? 주택을 담보로 잡고 제공하는 장기 주택자금대출 우량 담보 대출(Prime mortgage) vs 비우량 담보 대출(Subprime mortgage) ​ * 비우량 담보 대출을 왜 해주었는가? 미국에서는 2001년 이후의 주택 경기 호황을 배경으로 신용도가 낮은 사람을 ..

거시경제 : 실업

실업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자연실업률이란? 노동조합과 최저임금은 실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효율적 임금이론이란 무엇인가? ​ ​ 노동가능인구 = 15세 이상 인구 경제활동인구 = 취업자 + 실업자 ​ 실업률 = 실업자 / 경제활동인구 고용률 = 취업자 / 노동가능인구 실업률과 고용률은 측정하는 모집단이 다르다. ​ ​ 자연실업률 : 실제 실업률이 상승,하락하는 기준이 되는 정상적인 실업률 (구조적 실업과 마찰적 실업에 기인) 경기적실업률 : 자연실업률을 중심으로 단기 경기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실업 ​ ​ 즉, 자연실업률 = 마찰적 실업률 + 구조적 실업률 ​ 마찰적 실업 (주로 단기)을 줄이기 위해 정부는 '일자리에 대한 정보 제공'과 '직업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실업보험제도 : 실직 노동자..

거시경제 : 금리와 채권의 관계

계속해서 정리하는 금리와 채권의 관계 ​ ​ 금리가 오른다면 ​ 1. 회사채를 팔아야 하는 회사 입장 기준금리가 오름 -> 안정성이 더 좋은 국채의 금리가 회사채의 금리와 같아짐 -> 똑같은 수익률이지만, 안정성이 더 높은 국채와 안정성이 비교적 낮은 회사채 중, 당연히 국채를 선택 -> 따라서 이대로라면 회사채는 팔리지 않음 -> 회사들은 채권의 위험성이 증가한 것은 아니나, 회사채를 팔기 위해서 회사채(채권)의 가격을 내림 ​ 따라서, 금리가 오르면 채권의 가격이 내려간다. ​ 2. 급전이 필요해 보유하고 있는 채권을 팔아야 하는 사람 입장 과거에 채권을 구매했던 A가 급전이 필요해 보유중인 채권을 B에게 판매하려고 함 -> 하지만 금리가 올라서 B는 굳이 A가 가진 채권을 살 이유가 없음(A의 채권..

거시경제 : 피셔효과,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 문제인 이유

우리는 이전에 $실질\ 이자율=\ 명목\ 이자율-\ 예상물가상승률\left(\pi ^e\right)$실질 이자율= 명목 이자율− 예상물가상승률(πe)​ 이라는 식을 배웠다. ​ 그런데 장기적으로 화폐는 중립적이기 때문에(화폐의 중립성도 배운 적 있다.) 장기에 통화량 증가가 실질 이자율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그래서 물가상승률에만 영향을 주게 된다. 그래서 좌변이 일정하므로, 명목이자율과 물가상승률은 1:1로 반응하게 된다. ​ 이를 피셔효과(Fisher effect)라고 한다. -인플레이션율이 변하면 명목이자율도 같은 폭으로 변하는 현상- ​ 인플레이션은 무엇이고 왜 발생하는가? 인플레이션은 실질 GDP 같은 실질변수에 영향을 주나? 인플레이션이 왜 문제인가? ​ ​ 인플레이션(Inflation)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