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과정과 경제 파급효과 및 한국의 피해
실리콘밸리 은행 파산 과정
SVB는 예금량>대출량 인 희귀 Case의 은행
일반적인 은행은 예대금리차로 돈을 벌지만, SVB는 그럴 수 없었고, 초과 현금 대부분을(1200억 달러 이상) 미국채를 사들임.
2022년 미연준의 급격한 금리 상승
국채값이 똥값이 되었고, 스타트업도 유동성 확보가 어려워져 예금해놓은 돈을 인출함.
*SVB는 스타트업에게 대출을 해주며 성장함.
인출량이 많아지면서, 돈이 없었던 SVB는 손실을 감수하고 미국 국채를 헐값에 매각하면서 미실현 손실이 확정 손실이 됨.
2023.3.9 SVB 은행주가가 60% 폭락하였고, 스타트업과 이에 투자한 VC(벤처캐피탈)에서 예금 인출 분위기가 형성됨.
결국 뱅크런 사태가 발생.
*은행에서 통장에 찍혀있는 모든 돈을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일시에 다수의 예금 인출이 발생하면 지급 불능 사태가 발생하는데 이를 의미함.
SVB는 매각을 추진했으나, 미국 캘리포니아주 금융보호혁신국에서 은행 폐쇄 통보.
경제 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한 것으로 보임.
SVB의 모든 예금이 동결됨.
예금 동결로 인한 파급효과.
1. 스타트업의 급여에 차질
스타트업 파산, 도미노 현상 우려
2. 스타트업 주가 하락
투자한 곳의 손실, 아시아 증시 동반 급락
한국 국민연금 & KIC 총 790억 원 정도 평가 손실
안 그래도 욕먹는 국민연금. 앞으로는?
3. 미국 경제시스템 불신
전세계 금융주 시가총액 600조원 이상 증발
조 바이든 ‘미국 은행 시스템은 안전’ 호소.
예금 보호 대책 강구중
대형 은행에 예금 쏠림 현상, 은행 부익부 빈익빈 현상
'경제 > 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드레 코스톨라니가 말하는 장기투자자 : 주식시장의 마라토너 (0) | 2023.05.15 |
---|---|
앙드레 코스톨라니가 말하는 단기 투자자 : 증권시장을 유동적이고 크게 만드는 이들. (0) | 2023.05.15 |
구제금융은 과연 옳은가? 당신이 신중한 사람이라면, 당신은 바보가 될 수도 있다. (0) | 2023.02.27 |
정부에서 주는 보조금과 지원금은 선물이 아니다. (0) | 2023.02.26 |
집값은 계속 오를까? 그리고 집값 하락은 나쁜 것일까? (0) | 2023.0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