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공학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최우수 수료,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해킹방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 2022 교육부 장학생.

Study Steady

경제/경제 인사이트

거시경제 : 통화제도, 화폐의 기능과 필요조건, 통화의 창출 / 현금통화와 예금통화

uniblack 2022. 12. 30. 01:58
  • 화폐란 무엇인가?
  • 화폐의 유형은 무엇이 있는가?
  • 통화는 어떻게 창출되는가? => 현금통화와 예금통화
  • 통화량은 어떻게 측정하는가?
  • 화폐발행과 통화량과의 관계는?
  • 중앙은행제도와 통화정책 수행방식은 어떠한가?

통화의 정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지급이나 채무의 상환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는 매체를 지칭

*화폐가 대표적 통화 (지폐와 주화)

화폐의 기능

  1. 교환의 매개수단
  2. 회계의 단위
  3. 가치의 저장수단

❗️ 화폐가 없을 때는 ?

Double coincidence of wants : 욕구의 쌍방 간 일치

화폐가 생겨서 여러 단계의 거래가 필요없어졌다.

화폐의 필요조건

  • 시장 수용성 (market acceptability)
  • 운반 용이성 (portability)
  • 인식성 (recognizability)
  • 내구성 (durability)
  • 동질성 (homogeneity)
  • 가분성 (divisibility)
  • 가치 안정성 (stability of value)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는 시장 수용성과 가치 안정성이 없어서 화폐로 인정되고 있지 않다.


통화는 어떻게 창출될까?

먼저 통화는 예금통화와 현금통화의 합이다. (통화 = 예금통화 + 현금통화)

중앙은행이 발권력을 바탕으로 화폐를 발행한다.

발행화폐의 일부는 민간이 현금으로 보유하고 나머지는 은행에 예금한다.

현금통화 : 민간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지폐 및 주화)

금융기관(시중은행)은 수취한 예금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예금으로 예치하고 나머지 자금은 일부 시재금 보유 후 대출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예금통화 창출

시재금 : 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현금

지급준비예금 : 은행이 민간의 예금인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중앙은행에 일정 비율 이상의 금액을 예치하는 것

위와 같이 화폐발행액(본원통화라고도 부른다.)은 현금통화 + 은행이 보유한 시재금 + 은행이 예치한 지급준비예금(지준금이라고 줄여부른다.) 의 합이다.

본원 통화는 중앙은행의 업무수행과정에서 증감한다.

대표적으로 중앙은행의 공개시장조작이 있다.

증권을 매입하면 시장에 돈이 풀려 본원통화가 증가하게 되고 반대도 마찬가지다.

예금통화의 창출 과정은 다음 사진으로 쉽게 이해해보자.

즉 예금액이 무한등비급수 형태로 증가하며 그에 따라 총 창출되는 예금통화를 계산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