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배운 CPI를 통해 서로 다른 시점의 금액을 비교할 수 있다.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즉, 물가지수를 이용하여 명목가치를 실질가치로 환산하여 기간 간에 비교를 하는 것이다.
명목이자율 : 인플레이션 효과가 조정되지 않은 이자율
실질이자율 : 인플레이션 효과가 조정된 이자율

이 식은 나중에 인플레이션을 배울 때도 활용하므로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경제 > 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 예금통화승수와 통화승수, 통화와 물가와의 관계(화폐수량방정식) (0) | 2022.12.31 |
---|---|
거시경제 : 통화제도, 화폐의 기능과 필요조건, 통화의 창출 / 현금통화와 예금통화 (0) | 2022.12.30 |
거시경제 : CPI와 GDP 디플레이터의 차이 (0) | 2022.12.30 |
거시경제 : CPI 측정의 문제점 (0) | 2022.12.30 |
거시경제 : 물가 , 소비자물가지수(CPI)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