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I는 고정된 상품 바구니를 가정하고 있기 때문에
- 가격이 저럼한 대채제의 사용
[소비자들은 비싼 물건 대신 상대적으로 저렴한 대체제를 소비한다.]
2. 신제품 등장
[신제품의 등장 -> 소비자들은 동일한 비용으로 더 많은 효용을 얻는다.]
3. 품질 향상에 따른 효용의 증가
[재화의 가격은 그대로이지만 품질이 향상되면 물가는 사실상 하락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를 반영하지 못한다.
'경제 > 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 인플레이션 효과의 조정 (서로 다른 시점의 금액 비교), 명목 이자율과 실질 이자 (0) | 2022.12.30 |
---|---|
거시경제 : CPI와 GDP 디플레이터의 차이 (0) | 2022.12.30 |
거시경제 : 물가 , 소비자물가지수(CPI) (0) | 2022.12.30 |
거시경제 : GDP 갭 (0) | 2022.12.30 |
거시경제 : 잠재 GDP (자연산출량, 완전고용)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