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공학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최우수 수료,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해킹방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 2022 교육부 장학생.

Study Steady

분류 전체보기 118

생각에 관한 생각 : 시스템1과 시스템2.

대니얼 카너먼 : 이것만 알아두면 끝. 저자 & 집필 당시 배경 이스라엘 출신의 미국 심리학자. 심리학을 통해 경제 현상을 설명하는 행동 경제학의 초석을 놓았고 그 공로로 2002년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심리학자가 경제학상을 수상.) 일반적인 사람들도 자신의 행동경제학적 편향과 오류를 깨닫고 교정함으로써 더 나은 선택을 내릴 수 있음을 강조하는 책이다. 책 핵심 요약 1. 우리의 생각은 시스템 1과 시스템 2로 나뉘어있다. 시스템1은 민첩하고 직관적이며 자연스러운 생각이다. 에너지가 별로 들지 않고 정신적인 피로감을 주지 않는다. 시스템2는 느리고 게으르지만, 비판적이고 논리적인 생각이다. 골똘히 고민하고 합리적으로 생각할 때 발현되는 시스템이며 에너지가 많이 소모된다. 위협에 노출된 환경에서 중..

넛지 : 당신은 '적당히' 합리적인 인간이다, 심리학과 경제학의 융합, 집단의 압력을 이용하기.

리처드 탈러, 캐스 선스타인 : 이것만 알아두면 끝. 저자 & 집필 당시 배경 리처드 탈러는 행동경제학을 창시한 경제학자 중 한 명이다. 넛지는 기존의 경제학이 인정하지 않던 현실적인 심리학적 요인을 도입하고 그 영향을 흥미로운 사례들로 풀어냈다. 책 핵심 요약 1. 인간은 '합리적'인가? 의사 결정을 내렸던 과정을 돌이켜 보면 내가 모은 정보가 내가 모을 수 있었던 모든 정보인지 그리고 내가 가지고 있던 정보를 모두 사용했는지에 대한 의문이 들 수 있다. 이처럼 개별 경제 주체는 합리적이라는 가정에 대한 도전으로 행동경제학이 창시되었다. 행동경제학은 인간의 합리성을 부정하지는 않으나, '적당히' 합리적이라고 주장한다. 2. 넛지는 '팔꿈치로 슬쩍 찌르다.'라는 의미로 타인의 선택을 부드럽게 강요하는 개..

저당권과 근저당권의 차이 : 전세 사기를 예방하는 방법, 등기 말소 요청, 감액등기 신청.

저당권은 채권자가 채무자 또는 제3자로부터 점유를 옮기지 않고(부동산) 그 채권의 담보로 제공된 목적물(부동산)에 대하여 일반 채권자에 우선하여 변제를 받을 수 있는 약정담보물권(민법) 이다. 쉽게 풀어설명하면 돈을 빌리면서 내 부동산을 담보로 잡을 때 설정되는 물권이다. 저당권은 1회성 거래에서 잡히고 채무를 상환하면 즉시 효력이 사라진다. 또한 5천만원을 빌렸다면 정확히 5천만원이 저당잡힌다. 근저당권은 다르다. 근저당권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설정한다. 현재로서는 금액이 얼마가 될 지는 모르나, 앞으로 발생하게 될 거래 관계(다회성 거래)에 대하여 최고 한도 금액(채권최고액)을 상호 간에 정하여 미리 담보를 설정하는 것. 근저당권은 그래서 다회성 거래에서의 안전장치로 사용된다. 채권 최고액은 법률상..

금융 2023.04.30

블랙 스완 : 이야기를 좋아하는 인간, 인간의 무지함, 극단적 사건이 역사를 좌우한다.

나심 탈레브 : 이것만 알아두면 끝. 저자 & 집필 당시 배경 레바논계 미국인, 수리 통계학자이자 투자자이다. 탈레브는 현대 경제가 정교하고 안정적이라는 인식을 비판하며 금융 시스템의 허점을 지적했다. 금융 경제는 물론 세상 전반의 불확실성과 무작위함을 드러내는 여러 저서를 남겼다. 책 제목인 '블랙 스완'은 가능성이 매우 낮아 일어날 리가 없다고 여겨지거나 혹은 아예 가능한지도 몰랐던 갑작스러운 사건을 의미한다. 호주 대륙이 발견되기 전, 사람들은 백조는 모두 하얀색이라고 생각했지만 호주에서 검은 백조가 발견되자 그러한 명제는 거짓이 되었다. 오랜 기간동안 믿어져왔던 사실이 단 하나의 반례로 깨진 것. 이처럼 세상을 움직이고 새롭게 정의하는 것은 이런 블랙 스완들이다. 전문가들은 세상이 예측 가능한 범..

ChatGPT, 기술적 관점 총정리

0. 현재 인공지능이라고 불리는 것들의 발전과정 1. ChatGPT는 무엇인가 + ChatGPT 원리 2. ChatGPT의 장점과 단점 3. ChatGPT가 당겨온 미래 0. 현재 인공지능이라고 불리는 것들의 발전 과정 인공지능이란 무엇일까요? 유럽 연합(EU)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인공지능이라는 용어가 공용어로 미디어에서 일상적으로 사용되지만 실제로 공유되는 정의는 없다.’ 중앙대학교 석좌 교수 및 KAIST 명예 교수 김진형 교수는 에서 이렇게 답합니다. “인공지능을 만든다는 것은 지능적 행동을 하도록 알고리즘을 만든다는 것” 2021년 책 출간 당시 김진형 교수는 “GPT-3는 놀랍지만, 문장을 생성하는 등의 제한된 영역에서만 성능을 보일 뿐이다. 컴퓨터가 자연어를 완벽하게 이해하고 사람..

Yonsei Univ/공학 2023.04.04

21세기 자본 : 빈부 격차, 경제 성장률 < 자본 수익률 , 글로벌 부유세 도입, 이중 과세, 민주주의와 자본주의의 공존.

토마 피케티 : 이것만 알아두면 끝. 책 핵심 요약 아주 재미있고 생각을 많이 하며 읽은 책 중 하나다. 부의 분배는 영원한 경제의 논쟁거리다. 21세기에도 빈부 격차는 여전히 숙제로 남아있다. 과학적 연구 방법론을 이용해 빈부 격차를 연구한 1971년 노벨경자학상 수상자 쿠츠네츠는 경제 발전의 초기에는 부의 불평등이 심화되나, 경제가 성숙할수록 빈부 격차는 줄어든다는 '쿠츠네츠 곡선'을 정립했다. 하지만 20세기 후반에 들어서며 쿠츠네츠 곡선이 실제로 유효하지 않다는 것이 가시적으로 확인되었고 그에 대한 강력한 반박으로 나온 것이 바로 이다. 피케티는 쿠츠네츠보다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수집했고, 쿠츠네츠가 '소득 불평등'에 중점을 두고 연구한 것에 반하여 피케티는 '축적된 재산까지 고려한 부의 불평등..

불안정한 경제 안정화시키기 : 민스키 모먼트, 기업들의 과도한 부채 경계, 금융 중시.

하이먼 민스키 : 이것만 알아두면 끝. stabilizing an unstable economy 저자 & 집필 당시 배경 하이먼 민스키는 미국의 포스트 케인스학파 경제학자로, 살아생전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한 경제학자였다. 이 책은 불안정한 금융으로 인한 경제 과열이 어떻게 경제 위기로 이어지는 지를 다룬다. 책 핵심 요약 1. 경제 호황 -> 기업 이윤 상승 -> 기업가들의 수익 기대 상승, 낙관론 -> 투자 증대 -> 낙관론 전염 -> 기업이 돈을 더 빌리기 쉬워지고 부채가 계속 증가. 2. 호황 지속 -> 생산량 증가, 물가 하락 -> But, 기업들은 부채가 쌓여 이자가 늘어남 -> 기대 수익 하락 3. 경기 나빠지기 시작 -> 기업들 채무 감당 X -> 채무 이행을 위해 여러 기업이 자산을 동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