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공학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최우수 수료,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해킹방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 2022 교육부 장학생.

Study Steady

경제/경제 인사이트

거시경제 : 명목 GDP와 실질 GDP , GDP 디플레이터(가격변동률)

uniblack 2022. 12. 30. 01:54

실질 GDP : 불변가격 GDP ,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기준년도 가격을 적용하여 계산

기준이 있기 때문에 경제 성장, 경기변동 경제활동의 흐름 분석에 유용

명목 GDP : 경상가격 GDP(current price) , 생산된 최종생산물의 가치를 생산된 기간 중의 가격을 적용하여 계산

경제의 성장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생산한 재화와 서비스의 총량 (물량 기준, 가격에 의한 증가효과 제외)

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GDP디플레이터=\frac{명목\ GDP}{실질\ GDP}\times 100$GDP= GDP GDP×100

GDP디플레이터는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누어 사후적으로 계산하는 값이다.

즉, 가격상승으로 부풀려진 명목 GDP의 바람을 빼는데 GDP 디플레이터가 사용된다.

국민소득에 영향을 주는 모든 물가요인을 포괄하는 종합적인 물가지수로서 GDP라는 상품의 가격수준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GDP 디플레이터가 120이라는 것은

명목 GDP가 실질 GDP에 비해 12% 부풀려졌다는 것으로

해당 해 가격변동률이 12%라는 의미다.

명목 GDP (가격 및 물량 증가효과)

실질 GDP (물량 증가 효과)

두개를 나누면 물량 증가 효과가 사라지게 되어 가격 증가 효과만 남는다.

GDP 디플레이터의 상승률은 총생산물의 가격변동률을 의미한다.

* 실질 GDP 증감률 ~= 명목 GDP 증감률 - GDP디플레이터 상승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