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oss Domestic Produce
일정 기간(통상 1년 or 1분기)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한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모두 더한것
"국내" 이기 때문에 영토적 개념이 중요하다.
한국인이 해외에서 한 생산활동 -> X
외국인이 한국에서 한 생산활동 -> O
국내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 경제정책의 수립 및 평가, 경제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모든 재화는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계산하고 시장가치를 갖지 않는 물건은 제외한다.
(집에서 재배하는 채소 , 가정주부의 가사노동 등)
또한 중고품은 과거에 생산되었으므로 당해 GDP에 포함하지 않는다.
재고는 생산자에게 미래의 수익을 위한 "투자(I)" 로 간주한다.
Y 는 실질 GDP 를 의미한다.

C : 소비 :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가계의 지출 (주거서비스는 소비로 분류한다.)
I : 투자 : 생산설비, 건축물에 대한 지출,
재고 증가(미래를 위한 투자로 본다 했다.) 재고 증가-> 투자 증가요인 / 재고 감소 -> 투자 감소요인 ,
신축 주택의 구입(이것도 투자로 본다.)
G : 정부구입 :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지출
X-M : 순수출 : NX로 표현하기도 하며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금액
X(수출)은 GDP 증가 요인이고 M(수입)은 GDP 감소요인이다.
외국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C,I,G가 증가하지만 그만큼 M도 증가하기 때문에 GDP는 불변이다.
*중고 자동차 매입
Y(0) = C(소비) + I(투자감소)

'경제 > 경제 인사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시경제 : 명목 GDP와 실질 GDP , GDP 디플레이터(가격변동률) (0) | 2022.12.30 |
---|---|
거시경제 : 국민총소득 GNI, Gross National Income (0) | 2022.12.30 |
거시경제 : 국민소득 삼면등가의 법칙 (생산 = 분배 = 지출) (0) | 2022.12.30 |
거시경제 : 분배국민소득, 지출국민소득 (0) | 2022.12.30 |
거시 경제 : 국민소득통계에서 생산의 개념(부가가치), 생산국민소득 (0) | 2022.1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