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공학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최우수 수료,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해킹방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 2022 교육부 장학생.

Study Steady

경제/경제 인사이트

거시경제 : GDP의 자세한 정의

uniblack 2022. 12. 30. 01:54
Gross Domestic Produce
일정 기간(통상 1년 or 1분기) 동안 한 나라 안에서 생산한 최종 생산물의 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모두 더한것

"국내" 이기 때문에 영토적 개념이 중요하다.

한국인이 해외에서 한 생산활동 -> X

외국인이 한국에서 한 생산활동 -> O

국내 경제의 전반적인 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내 경제정책의 수립 및 평가, 경제 분석의 기초자료로 활용한다.

모든 재화는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계산하고 시장가치를 갖지 않는 물건은 제외한다.

(집에서 재배하는 채소 , 가정주부의 가사노동 등)

또한 중고품은 과거에 생산되었으므로 당해 GDP에 포함하지 않는다.

재고는 생산자에게 미래의 수익을 위한 "투자(I)" 로 간주한다.

Y 는 실질 GDP 를 의미한다.

C : 소비 :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가계의 지출 (주거서비스는 소비로 분류한다.)

I : 투자 : 생산설비, 건축물에 대한 지출,

재고 증가(미래를 위한 투자로 본다 했다.) 재고 증가-> 투자 증가요인 / 재고 감소 -> 투자 감소요인 ,

신축 주택의 구입(이것도 투자로 본다.)

G : 정부구입 :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정부의 지출

X-M : 순수출 : NX로 표현하기도 하며 수출액에서 수입액을 뺀 금액

X(수출)은 GDP 증가 요인이고 M(수입)은 GDP 감소요인이다.

외국에서 상품을 구매하면 C,I,G가 증가하지만 그만큼 M도 증가하기 때문에 GDP는 불변이다.

*중고 자동차 매입

Y(0) = C(소비) + I(투자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