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금융, 공학

동두천양주교육지원청 영재교육원 최우수 수료,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해킹방어과 졸업,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재학중, 2022 교육부 장학생.

Study Steady

경제/경제학 고전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 : 이것만 알아두면 끝.

uniblack 2023. 2. 27. 09:00

카를 마르크스 <자본론> : 이것만 알아두면 끝.

저자 & 집필 당시 배경

카를 마르크스는 역사가, 경제학자, 사상가이자 혁명가였다. (1818~1883)

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으로 유명하다.

<자본론>과 <공산당 선언> 등 마르크스의 저서는 20세기 세계 각국의 공산주의 혁명의 토대를 마련했다.

마르크스의 사상은 경제학은 물론 세계사의 흐름까지 바꾸어놓았다.

19세기 무렵 시작된 산업혁명은 빠른 속도로 사회를 변화시키고 있었다.

기술 발전으로 인해 자본주의가 더 발달했고, 정치적인 요인도 자본주의를 더 가속화시켰다.

예를 들어, 영국 정부는 지주들이 농지를 독점할 수 있게 해주었고 그로 인해 서민들(영세 농민)은 빈자가 되거나 소작을 할 수 밖에 없었다. 더욱이 영국 정부는 당시에 실업자를 처벌하는 정책을 펼쳤다. 실업자들의 귀를 자르고 교수형에 처하기까지했다. 

노동자들은 처참한 환경에서 노동을 했고, 여기에는 여성, 어린아이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러한 비참한 현실을 마주한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어떻게 서민들을 착취하여 소수의 부자를 만드는 지'에 대해서 지적하며 <자본론>을 저술하게 되었다.

 

<자본론>을 저술하면서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고민하고, '자본주의적 생산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생산 방식'에 대해서 고민하였다. 마르크스는 '자본주의는 그 자체로 내적 모순을 지니고 있으며 이 때문에 붕괴될 수 밖에 없다.'고 주장한다.

마르크스는 '상품의 우상화'로 인해 돈이 숭배되기 시작했다고 말한다.

* 상품의 우상화 : 화폐 자체에는 내재적 가치가 없지만, 상품을 만드는 데 쓰인 노동력보다는 그 상품의 가격 자체를 가치있게 보는 현상

책 핵심 요약

1. 당시 자본가들이 돈을 버는 방식을 비판했다. 당시 자본가들은 잉여 가치(Surplus Value)를 만들기 위해 노동자에게 최대한의 일과 최소한의 보수를 주며 높은 마진을 얻었다. 마르크스는 이 높은 마진이야말로 '노동자 착취 강도의 지표'라고 보았다.

 

2. 자본가는 자본주의 시스템에서 생산 수단과 노동의 결과물을 온전히 독차지 한다.

 

3. 노동자는 자신의 노동력을 값싸게 판매하면서 자신의 가치를 점점 잃어버리고 기계의 한 부품으로 전락했다.

 

4. 노동자들은 아무리 노력해도 자본주의 시스템을 벗어날 수 없다. 자본주의 사회에선 자본가(부자)가 임금 체계를 결정하므로 노동자가 원하는 임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 따위는 없기 때문이다.

그렇게 부자들은 더 부자가 되고, 빈자들은 더 빈자가 된다.

 

5. 역사 유물론: 마르크스는 인류 역사가 경제 발전의 이야기이며, 이 발전의 원동력은 생산 수단의 통제를 둘러싼 서로 다른 계층 간의 투쟁이라고 믿었다.

6. 노동가치론: 마르크스는 제품의 가치는 제품을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노동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노동자들이 노동의 가치를 충분히 받지 못하기 때문에 착취당한다고 믿었고, 잉여가치는 생산수단을 소유한 자본가들에게 돌아갔다.

7. 소외: 마르크스는 자본주의가 노동자들을 그들 자신의 노동으로부터, 다른 노동자로부터, 그들의 노동의 산물로부터, 그리고 심지어 인간으로서의 그들 자신의 종-존재 또는 본질로부터도 소외시킨다고 믿었다.

8. 역사적 필연성: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는 역사적 발전의 필연적 결과이며, 자본주의는 스스로의 파멸의 씨앗을 담고 있다고 믿었다. 그는 자본주의 생산에 내재된 모순과 위기는 결국 부르주아 계급의 혁명적 전복과 사회주의 사회의 성립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9. 이 책은 출판된 후, 각국에서 전개된 공산주의 혁명의 토대가 되었다. <자본론>이 출판된 지 100년이 되지 않아 러시아는 공산주의 혁명으로 몰락했으며, 새로운 형태의 국가를 만들어냈다.

 

10. 마르크스는 공산주의를 지지한 경제학적 연구 외에도 계급 갈등과 관련된 사회학 이론과 철학적 연구도 많이 하였다.

* 계급투쟁: 마르크스는 부르주아 계급(자본의 소유자)과 프롤레타리아 계급(노동자) 사이의 계급투쟁이 자본주의 사회의 사회적 변화의 주요 원동력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투쟁의 궁극적인 해결책이 자본주의 체제의 타도와 계급 없는 사회의 확립이라고 믿었다.